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얼마 전 경찰이 '마약과의 전쟁'을 선포하고 대규모 수사 인력을 투입했습니다. <br> <br>SNS로 은밀히 판매되는터라 마약 유통책인 속칭 '드랍퍼'를 검거하는게 중요한데, 최근엔 직장을 구하기 힘든 청년들이 고액 알바 유혹에 빠져서 마약 배달에 가담하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.<br> <br>사건현장360, 이혜주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두리번거리며 주위를 살피더니 길가 풀숲에 뭔갈 툭 던지는 남성.<br><br>조직의 지시를 받아 마약을 배달하는, 이른바 '드라퍼'입니다.<br><br>약속된 장소에 마약을 떨궈놓고 "물건을 배달했음"을 증명하는 영상을 찍어 윗선에 보고합니다. <br><br>고액 아르바이트로 가장해 청년들을 유혹하는 드라퍼의 실태를 추적했습니다.<br> <br>드라퍼로 일하다 2년 전 실형을 선고받은 20대 A씨, 시작은 돈이었습니다. <br> <br>[A 씨 / 전직 드라퍼] <br>"돈을 벌기 위해서 시작을 했죠. 돈이 없었으니까, 그때는. 월 2천만 원 정도는 번 것 같아요." <br> <br>세 달 정도 지난 뒤엔 직접 판매하고, 투약도 하게 됐습니다. <br> <br>[A 씨 / 전직 드라퍼] <br>"더 돈이 되니까 판매를 하기 시작했고 판매하다가 (경찰에) 잡힌 거예요. '나는 마약을 안 하는데 마약 일을 한다' 이거는 거의 99.9% 거짓말이라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2년 전 한 달 동안 드라퍼를 하다가 경찰에 체포돼 재판 준비 중인 B 씨도 처음엔 '고액 알바'라는 말에 혹했습니다. <br> <br>누가 지시하고 무엇을 배달하는 건지도 모른 채 일을 했다고 말합니다. <br><br>[B 씨 / 전직 드라퍼] <br>"처음부터 누군지도 몰랐고 그냥 하라는 대로 쫓아서 해서. 돈이 급해서 그랬던 것 같은데 어떤 나쁜 거라는 건 대충 알고 있었지만 정확히 어떤 건지는 생각을 안 했던 것 같아요." <br> <br>텔레그램에는 '월 2천만 원 수익 보장'이라며 드라퍼를 모집하는 글들이 올라옵니다. <br> <br>'드라퍼를 하고 싶다'고 위장해 마약 조직에 접근해봤습니다. <br><br>처음엔 수백만 원 보증금을 요구하다가 보증금 대신 가족관계증명서, SNS 아이디 등 정보를 내라고 말합니다. <br> <br>심지어 '드라퍼로 일한다'고 자백하는 영상, 집을 드나드는 영상도 촬영하라고 요구합니다.<br> <br>[A 씨 / 전직 드라퍼] <br>"마약을 내가 가지고 튀었다 이러면 경찰에 넘길 수도 있는 거고. 그러니까 함부로 도망가고 하지는 못 하죠." <br> <br>빠르게 돈을 벌고 싶어하는 사회 초년생들이 주로 드라퍼로 뛰어듭니다. <br> <br>[김안철 / 변호사] <br>"대부분이 20대의 어린 사람들이예요. 사회초년생들은 당장의 돈이 필요하기 때문에 '별일 아니겠지' 하면서 하거든요." <br> <br>드라퍼는 죄질에 따라 최소 5년 이하, 최대 무기징역을 받을 수 있는 중형입니다. <br> <br>사건현장360 이혜주입니다. <br> <br>PD: 엄태원 최수연<br /><br /><br />이혜주 기자 plz@ichannela.com